파운드리 반도체 란 ?
일반적으로 반도체는 크게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 즉 시스템 반도체 두가지로 나누어집니다.시스템 반도체는 CPU,GPU를 비롯해 모바일 Ap,차량용 반도체 등 기계나 컴퓨터 정보 처리시의 두뇌 역활을 해당하는 반도체들을 주로 가리킵니다.이 칩을 만드는 설계 작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을 펩리스라고 부르며 반대로 그 설계도를 넘겨 받아 수주를 받고 제조를 통해 대신 만들어 주는 작업을 파운드리 라고 부릅니다.
TSMC vs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쟁
치킨게임의 벌어진 메모리 반도체 시장 마침내 평정을 한 삼성전자는 새로운 먹거리로 시스템 반도체 진입이 필요함을 깨닫고 그 중에서도 자신이 있던 제조 분야인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및 이미지센서 시장을 찍고 전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쉽지는 않은 전쟁이 분명합니다.2018년 시스템반도체 비전을 선언한 후 열심히 추격하고 있지만 그 격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죠.심지어 이번 갤럭시 S22 모델에 엑시노스가 아닌 스냅드래곤이 대량 탑재된 것도 파운드리 수율 문제 때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파운드리 수율 이란 ?
반도체에서 수율은 설계 도면을 받고 칩을 제조할 때 웨이퍼 공정 단계에서 나오는 칩들 중 양품 비율을 말합니다.보통 100개 칩 당 70% 정도 수율이 나오면 성공이고 80-90% 수준에 도달한다면 굉장한 기술력으로 매우 높은 이익률을 보여주게 됩니다.TSMC는 그래서 무려 40%대 영업이익률을 자랑하죠.
칩 비즈니스에서 수율은 매우 중요하며 삼성전자 파운드리 미세공정 수율은 굉장히 낮아 상대적으로 8% 수준의 초라한 이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도 최근 삼성전자 파운드리 수율 감찰이 시작되고 있다고 하며 이를 통해 다음 3나노 반도체에서 TSMC를 상대로 반전을 일으켜 보겠다는 생각이 보이는 중입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
예정대로 진행이 된다면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3나노 공정이 예정대로 진행이 되면 올해 상반기내로 공개될 전망입니다.로드맵 처럼 시기에 맞게 제대로 개발이 완료된다면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전망 확인이 가능해질 전망이며 TSMC 보다도 반년정도 속도에서 앞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뒤쳐져 있던 삼성전자에게는 빠르게 고객사를 확보하고 TSMC 상대로도 좋은 성능과 전성비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으로 중요한 것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 온 수율이 얼마나 확보될 것인가겠지요.
최근 대만 반도체 전문 언론사 디지타임스에서는 TSMC가 3나노 수율에 애를 먹고 있으며 예정보다 공정이 미뤄질 수 있고 삼성전자파운드리 반도체 역시 수율이 좋지 못하다는 소식을 뿌렸습니다.진짜인지 아닌지는 까보아야 알겠지만 3나노는 새로운 영역인만큼 둘다 어려움을 겪고 있을겁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전망 3나노 TSMC와 다른 공정으로 승부
이전에 EUV를 먼저 도입했지만 수율 이슈를 낳으며 실패로 끝났던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전략, 2022년 상반기 3나노 1세대 양산을 선언하고 이번에는 다르다며 이를 갈고 있습니다.똑같이 먼저 새로운 공정인 GAA 공정을 가지고 온 삼성전자와 3나노에서 그대로 핀펫 공정을 사용하기로 한 TSMC 이론만으로 놓고 보면 공정에 성공한다면 GAA 공정이 성능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습니다.
GAA 공정을 통해 5나노 반도체에 비해 성능 45%상승 , 전력소모 60% 감소 , 면적 45% 감소가 가능하다고 하며 이는 2019년 발표때보다도 10% 정도씩 상승되었으니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 케파 투자
이제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에 중요한 것은 고객사 확보와 케파 투자를 통한 칩 생산량 확대에 있을 것 같습니다.euv를 1년이나 먼저 도입하고도 TSMC의 압도적인 케파 물량에 시장을 내주고 말았던 과거를 반복하면 안되겠죠.
설계 투자비가 적게 들기에 아마 펩리스들은 아직은 검증되지 않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의 GAA 신공정보다 TSMC의 핀펫 공정을 선호할 것이지만 결국 애플과 인텔 물량을 수주하게된 TSMC 케파는 별로 남지 않을것이며 AMD 퀄컴 등 euv때보다 훨씬 다양해진 수요자들은 결국 삼성전자 쪽에도 물량을 주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펩리스들이 만족할만한 성능과 수율을 뽑아내는데 성공한다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 미래도 밝아지겠죠.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로드맵을 보면 2026년까지 2배 수준으로 케파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또 현재 100곳 정도인 고객사도 3배인 300곳으로 늘리겠다고 하니 계획대로 성공한다면 상당한 점유율 상승과 함께 현재의 세배 수준인 60조 대의 매출이 가능할것으로 점쳐지고 규모의 경제에 성공해 영업이익률도 극적으로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벌써 500곳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고 이미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있는 TSMC를 이기기는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결국 중요한 것은 3나노가 예정대로 잘 나와주어 신규 첨단공장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고 2나노까지 계속 이어갈 충성 고객을 확보해야만 하겠죠.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올해 전망
케파가 슬슬 확보되고 첨단공정 수율도 자리잡아갈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파운드리 매출과 이익률이 상승을 시작할 전망입니다.
작년 연간 매출이 21조원 수준이 점쳐지는데 올해엔 25%가까이 상승한 27조 수준이 예상되고 영업이익도 두배로 증가한 2조 4000억 정도를 전망한다고 합니다.
'여러가지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두플럼 효능 먹는법 부작용 (9) | 2022.02.25 |
---|---|
애기똥풀 효능 부작용 특징 식용 먹는법 (6) | 2022.02.25 |
삼립 포켓몬 빵 재출시 띠부씰 스티커 종류 (19) | 2022.02.24 |
대머리 탈모 원인 탈모에 좋은 샴푸 (13) | 2022.02.24 |
종근당 프로메가 알티지오메가3 효능 부작용 정리 (12) | 2022.02.23 |